![](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i6krL%2FbtqRCWAmsit%2F0WeifpKLCFgAdfYH3KIN31%2Fimg.png)
사업자 매입관련 적격증빙은 세금계산서, 카드영수증, 현금영수증(지출증빙) 등이 있으며, 이들 모두 홈택스에서 자료를 검색하거나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저희는 부가가치세 신고를 위해 6개월분의 내역을 몰아서 장부기장하고 있는데요, 매번 홈택스에 접속해서 확인하는 것보다 모두 엑셀파일로 내려받아 매출, 매입 등 필요한 내역을 정리하는 것이 간편합니다.
오늘은 현금영수증 매입내역(지출증빙)을 내려받아 해당매입내역을 장부에 기장해 볼 겁니다.
먼저 홈택스 로그인 후, 해당 메뉴를 찾아 월별로 매입내역을 조회하여 엑셀로 내려받아 하나의 파일로 정리합니다.
제 경우 보통 사업에 필요한 물품들을 구입할 때, 실제 매장에서 구입하는 것은 사업자 카드를 이용하고, 온라인 마켓을 이용할 시 적은 금액의 경우 현금충전하는 포인트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때 현금영수증(지출증빙) 발행을 요청하는 편입니다. 사업초기 사무실을 마련할 때는 비품이나 물품을 구입해야하기에 현금영수증 내역도 많았는데 이제 그 비용이 많지는 않네요.
그럼 상시적으로 소모되어 구매하게 되는 비용인 소모품비에 대해서 장부에 기장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조업의 경우는 제조비, 판관비 등으로 나누어서 관리를 하겠지만
이 경우가 아니라면 아래와 같이 소모품비를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사업에 직접적인 관련은 없으나 사무를 볼 때 필요한 사무용품, 프린터/컴퓨터 등 비품, 잉크나 토너 충전 등 소모품
2) 사무용은 아니지만 사무실을 유지보수하기 위한 청소용품, 집기비품
3) 사무실에 방문하는 고객이나 거래처 직원을 위한 음료나 비품
위의 내용에 대해 지출한 비용은 사업장에서 결정한 기준에 따라서 계정과목을 정하면 됩니다.
저희의 경우는 비용이 크지 않아 사무용품비나 소모품비 등 상세하게 나누지 않고,
사업을 위해 사용하는 소모품들은 모두 [소모품비] 계정 하나로 정리하였습니다.
위의 3번은 접대비나 판매촉진비로 할 수는 있으나 금액배분을 명확히 할 수 없고, 비용도 소소하게 때문에 이 또한 소모품비 계정과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토너구매/청소용품이나 사무용품 구매도 모두 위의 장부입력 예시와 같이 소모품비 계정을 사용하여 입력하고 있습니다. 부가세 증빙의 경우, 카드로 구매했다면 카드영수증, 계산서를 받았다면 세금계산서, 일반 간이영수증을 받았다면 기타(정규영수증 외) 등 본인이 사용하고 받은 증빙에 따라 선택하여 입력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