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PNG, TIFF 등 이미지를 저장하는 그래픽 파일 포맷은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JPG 또는 PNG 입니다. 스마트폰에서 사진을 찍어 카톡이나 PC로 전달되거나 SNS에 업로드 되는 사진들도 대부분 JPG이고요. 그치만 그게 뭔데? 라고 물어보면 말문이 막히니 간단하게 알아보고 가죠. ● JPG는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압축 형식을 사용해 저장되며, 넓은 범위의 색을 지원하여 카메라나 스캐너에 흔히 사용되지만 디테일을 일부 희생시켜 파일의 크기를 줄이기 때문에 저장공간을 절약하고 사진을 온라인에 게시하거나 다른 이들에게 파일을 공유할 때 유리. ● PNG (Potable Network Graphics) 는 다양한 색과..
1년전쯤 구매해서 사용하던 키보드인데 갑자기 키보드의 일부 키가 말을 듣지 않네요. 분명 글자부분 메인 자판을 눌렀는데 커서가 위 아래 양 옆으로 움직이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사실 게임하는 사람 아니면 키보드는 그냥 글자, 숫자 쓰고, 지우고 행바꾸고 이런 자판 기능으로 사용하지 특별히 사용법을 익히지 않거든요. 설명서를 찾아보게 만들었던 키보드의 문제는 바로 "방향키 전환기능" FN(Funtion)키와 W키를 함께 누르면 방향키와 WASD키를 방향키로 서로 전환 설정이 가능하다는 부분이었습니다. 그래서 WASD 키를 누르면 위 아래 양 옆으로 움직였던 거였죠. 게임을 하질 않으니 사실은 저에게는 필요없는 부분이네요. 이밖에도 게임을 하다가 튕기는 현상을 방지하거나 PC방이나 사무실에서 자리를 비울때 키..
요즘들어 빨래를 할 때마다 옷과 이불 등에 묻어나오는 먼지가 많아서 빨래를 널 때, 걷을 때, 갤 때도 먼지가 엄청나네요. 먼지 테이프 돌돌이는 우리집 필수품입니다. 왜 이리 먼지가 많이 나올까 세탁기를 살펴봅니다. 벌써 8년째 사용중인 대우 통돌이 세탁기에요. 예전 살던 집에서 한 번 얼어서 수리하고, 이사 와서 세탁기 분해청소하고, 그 이후에는 고장 없이 잘 사용중입니다. 이번에 보니 권장안전사용기간이 5년이라고 되어 있네요. 4인가족 일주일 2번 정도 사용중이면 많이 사용하지 않는 건가요? 보통 세탁기는 고장이 나거나 새로 이사를 할 때 구입하는 것 같은데 고장날 때까지는 함께 하겠네요^^ 빨래먼지의 원인은 찢어져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세탁기 거름망이었어요. 근처 큰 마켓이나 다이소 등에 ..
지난번 큰 아이 고열로 동탄 선별진료소인 한림대병원 선별진료소 방문을 했다가 QR코드 접속으로 잠시 어버버 했던 기억이 나서 간단한 QR코드 스캔 방법 두 가지를 포스팅 합니다. 정말 간단하고 쉬운데 그날은 왜 못했던건지.. 어떤 상황에서든 침착하게 평점심을 유지할 수 있다면 좋은데 말이죠. 네이버 QR코드 스캔방법 먼저 네이버 어플에 접속합니다. 메인 하단의 '동그라미 모양' 터치 → 메뉴 중 '렌즈' 선택 → 'QR/바코드' 터치. 이렇게 하면 아래 사진처럼 QR코드나 바코드를 인식하라고 나옵니다. 꺽쇠모양으로 표시된 모양 안쪽에 QR코드를 맞춰주면 해당 웹사이트로 이동하게 됩니다. 선별진료소에서 문진표 작성을 위한 사이트로 이동하는 사진입니다. 아래의 QR코드를 스캔해도 이동해요~ 신기한 QR코드...